말글채집

<레토리컬그래머>Rhetorical Grammar - 분석의 틀과 기본적인 접근법(추천사에서 중에서)

나룸이 2020. 11. 5. 19:14
반응형

Rhetorical Grammar는 비록 전통적인 문법의 정의와 한계를 공유하면서도, 문법 현상, 즉 하나의 문장이나 단락의 형태를 둘러싼 이해와 설명의 원리들을 전혀 다른 차원에서 소개하고 있다. 하단의 예문 a)는 전통적으로 완전한 문장 형식을 갖추고 있어, 별다른 판단의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 듯 보인다.

 

a) The woman looked anxious before the exam. As a result, her feet were tapping nervously under the desk.

 

문장 a)의 경우 시험을 앞둔 긴장감과 다리를 떠는 행위가 두 개의 단문(simple sentence)으로 표현되었다. 그리고 두 문장 사이에 논리적 관계-이 경우, 원인과 결과(cause and result)-를 표현하는 접속부사 'as a result'가 삽입되었다. 전통적인 문법의 입장에서 정확한 형식을 갖춘 문장이니 별 문제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문장의 의미와 기능 차원에서는 다분히 비효과적인 문장이라고 지적할 수도 있다.

 

우선 '의미적으로' 두 문장의 관계가 너무 자명하다. 시험을 앞둔 수험생이라면 대부분 긴장을 하지 않을 수 없고, 그 결과 다리를 떨거나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그런 긴장감을 드러내기 마련이다. 즉 'as a result'라는 접속부사를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독자로서는 원인과 결과라는 두 문장(진술)간의 관계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그런 이유로 너무 '자명한(self-evident)' 접속부사 as a result는 생략한다.

 

b) The woman looked anxious before the exam. As a result, her feet were tapping nervously under the desk.

 

그리고 '기능적으로' 여성의 긴장감을 표현하는 진술과 다리를 떠는 행위를 묘사한 진술은 인과관계(cause and effect)라는 의미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영어의 경우 '근접성의 원리'(principle of proximity, D. Solbin, 1979)로 인해 의미적으로 밀접한 진술들은 구문적으로도 근접해 있어야 하기에, a)의 경우처럼 두 개의 개별 문장보다는 하나의 문장으로 연결할 때 근접성의 원리에 더 부합하게 된다.

 

c) The woman looked anxious before the exam, and her feet were tapping nervously under the desk.

 

하지만 c)처럼 'and'를 사용하면 비록 문법적인 형태를 갖추기는 했어도, 영어의 경우 문장내 중요한 정보는 대부분 문미(at the end of sentence)에 등장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c)는 강조점(focus)이 상실되고 만다. 흔히 등위 구문(coordination)이란 서로 연결되는 정보를 유사한 문법 형식으로 표현하지만, 정작 바로 그 등위라는 용법은 형식만이 아니라 의미의 등위마저 요구하게 된다. 그렇기에 문장 c)는 독자로 하여금 여성의 긴장감과 가볍게 다리를 떠는 행위 모두를 중요한 정보로 읽도록 요구하지만, 정작 시험을 앞둔 긴장감보다는 그 결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시험에 따르는 긴장감은 누구에게나 있을 법하지만, 그 긴장의 결과가 구체적으로 어떤 행동이나 사건을 초래하는지는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그 긴장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예측하기는 상대적으로 어렵다. 그러므로 독자의 입장에서 주목할 만한 정보, 그래서 조금 더 강조될 필요가 있는 정보는 긴장의 결과인 다리를 떠는 행위일 것이다. 등위 접속사 'and'는 적합하지 못하다.

 

d) The woman looked anxious before the exam, and her feet were tapping nervously under the desk.

 

마지막으로 문장연결을 마무리한다. 여성의 긴장을 진술한 부분은 'look anxious'라는 표현에서 보듯, 구체적인 연결이라기보다는 나름 필자의 판단이 개입된 일종의 추론된 진술이다. 하지만 그녀가 다리를 떨었다는 진술은 실제 구체적인 행위를 기록하고 전달하는 사실 진술에 해당한다. 이 경우 구체적인 행위나 사건처럼 세부 묘사(showing details)에 사용되는 문법 형식으로 절대구(absolutes)를 활용할 수 있다. 결국 수정문은 다음과 같다.

 

e) The woman looked anxious before the exam, her feet tapping nervously under the desk.

 

문장 e)는 문장의 기능과 의미 차원에서 문장 a)와 비교되는 다양한 문장 특성을 반영한다. 우선 유사한 형식과 길이의 단문을 반복하지 않고 하나의 기본절에 절대구라는 수식을 사용해 '문장 다양성(sentence variety)'을 높였으며, 진술간의 의미적 중요도를 구분하고 그에 맞추어 문장 형식을 절과 구로 차별화한 점에서 '문장 성숙도(sentence maturity)'가 높아졌으며, 진술의 성격, 즉 사실과 추론을 구별하면서 구체적인 세부 묘사에 사용되는 절대구라는 문장 형식을 활용하면서 '문장 복잡도(sentence complexity)'를 증가시켰다. 

 

필자의 표현과 독자의 이해로 요약되고, 글쓰기로 대변되는 의사소통의 효과적인 기능과 원리를 소개하는 본저 Rhetorical Grammar의 설명 방식이다.

 

레토리컬 그래머
저자 : Martha J. Kolln,Loretta S. Gray / 허수연역
출판 : 베이직북스 2013.05.20
상세보기
반응형